본문 바로가기

IT관련 공부/백준(BaekJoon)10

2739번, 10950번, 8393번, 2739번 간단한 문제 구구단을 출력하는 문제이다 a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2 * %d = %d" %(i,i*a)) 이렇게 했는데 틀렸다. 이유가 뭘까 했는데 print문의 2가 아니라 %d를 해서 N을 입력받아 어떤 숫자든 출력할 수 있게 해야한다. a = int(input()) for i in range(1,10): print("%d * %d = %d" %(a,i,i*a)) 수정된 코드는 다음과 같다. 10950번 테스트 케이스 개수를 정하고 숫자 A와 B를 입력하여 합을 출력하는 문제이다. T = int(input()) for i in range(0,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너무 간.. 2023. 1. 13.
2480번 2480번 문제를 보면 1. 같은 눈이 3개가 나오면 10000원 + (같은 눈)*1000원의 상금을 받고 2. 같은 눈이 2개만 나오는 경우에는 1000원+(같은 눈)*100원의 상금을 받고 3. 모두 다른 눈이 나오는 경우에는 (그 중 가장 큰 눈)*1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a, b, c= map(int, input().split()) ab_count = 0 ac_count = 0 bc_count = 0 if a==b: ab_count+= 1 elif b==c: bc_count+= 1 elif c==a: ac_count+= 1 if (a+b+c)/3 == a: print(10000+(a*1000)) elif ab_count==1 or ac_count: print(1000+(a*100)) elif.. 2023. 1. 13.
14681번, 2884번, 2525번 14681번 반가워요~~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저번주에 있었던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해 카카오의 모든 서비스가 중단되었는데요. 티스토리도 카카오 쪽이라 아예 접속조차 안되고 이틀정도 지나니 글을 보는건 되는데 양식이나 쓰는게 조금 안되서 문제는 계속풀되 시간날때 한번에 올리자 해서 오늘 올리게 됐네요^^ 사설이 길었네요 문제를 보면 고등학교 수학시간에 배웠던 1~4분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중요한건 x는 오른쪽으로 가면 양수 왼쪽이면 음수 y는 위로가면 양수 아래로 가면 음수인것이죠. 즉 x와 y가 양수이면 1사분면 둘다 음수이면 3사분면 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이 문제는 정말 간단해요 두개의 값을 입력받아서 음수인지 양수인지만 판별해주면 되거든요. X = int(input()) Y = int(in.. 2022. 10. 21.
1330번, 9498번, 2753번 1330번 오늘도 열심히 하루에 한두문제 씩은 풀고 올릴려고 노력한다. 문제를 보면 간단한 문제이다. A와 B를 입력받고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 A, B = input().split() if(A > B): print(">") elif(A < B): print("") elif(A < B): print(" 2022. 10. 14.
10171번, 10172번, 25083번 10171번 귀여운 고양이를 print문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예제 출력을 그대로 복사해서 print문으로 넣으면 될 것 같지만 함정이다. 역슬래시와 작은따옴표 출력방식에 대한 부분을 이해하고 있는가 물어보는 문제인 것이다. 그래서 역슬래시의경우 출력을 하려면 두번 써야한다던가 작은 따옴표 옆에 역슬래시를 써야한다던가 그런 세심한 부분을 신경써야한다. 답은 아래와 같다 print("\ /\\") # 역(백)슬래시를 출력하려면 두번 써야한다. print(" ) ( \')") #작은 따옴표 옆에 역슬래시를 해도 출력이되고 안해도 출력이된다. print("( / )") print(" \(__)|") 이렇게 하면 귀여운 고양이가 출력 될 것이다! 10172번 이문제도 마찬가지로 큰 따옴표와 .. 2022. 10. 12.
10430번, 2588번 10430 A B C 3개를 입력받고 출력만 하면되는 정말 간단한 문제이다. A, B, C= map(int, input().split()) print((A+B)%C) print(((A%C) + (B%C))%C) print((A*B)%C) print(((A%C)*(B%C))%C) map 함수에 대해 설명하자면 여러가지의 자료형의 값을 받을 때 사용되는 함수이다. 이 문제는 따로 코멘트를 하지않겠습니다. 2588번 이문제 되게 어렵게 생각했던 문제이다. 배열 만들어서 4 7 2 를 a[0] a[1] a[2] 385도 마찬가지로 b[0] b[1] b[2] 이렇게 넣고 폴문을 이용해서 돌릴려고 했는데.. 잘 안되고(당연히 잘 안됬지.. 방법이 잘못됬는데) 화장실에서 큰일을 보다 472*5가 2360이 나오는 것.. 2022. 10. 12.
10926번, 18108번, 3003번 10926번 입력받은 값에 ??!을 더하는 간단한 문제이다. 파이썬의 print문에 ??! 을 더하려면 A= input() print(A+"??!") 이런식으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입력받은값과 더하고 싶은 문자에 + 를 써주면 같이 출력이 된다. 18108번 문제가 쓸떼없이 길다. 단지 년도의 차이뿐이므로 2541 - 1998 = 543년이 나온다. 불기와 서기연도의 차이는 543년이므로 입력받은 값에서 543을 빼주면 될 것이다. A = input() B = int(A) - 543 print(B) 여기서 A = A -543을 해도 되지만 최근 Python의 Pandas를 배우는 중인데 웬만하면 원본 데이터를 건들지 않는게 좋다고 해서 변수 하나를 만들어 넣는 것으로 습관을 만들기로 했다. 그래서.. 2022. 10. 12.
1000번, 1001번, 10998번, 1008번, 10869번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이라 하나로 묶어서 푼 내용을 정리하겠다. 원래는 푼 날에 올리려고 했는데 공부에 소홀 했던 것 같다. 각설하고, 문제를 보자 1000번 a와 b를 받아 더하여 출력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a, b = input().split() print(int(a)+int(b)) split 메서드를 사용하여 한번에 두개의 값을 받아 진행하였다. 마찬가지로 1000번 문제를 보면 이 문제도 마찬가지로 a, b = input().split() print(int(a)-int(b)) print문의 +를 -로 바꿔주면 쉽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변수 n을 만들어 값을 저장하고 n을 출력하는 식으로도 할 수 있다. a, b = input().split() n = int(a)-int(b) print(n) 그.. 2022. 10. 12.
백준 10718번 문제 어.. 강한친구 대한육군을 두번 출력하라는 문제이다. print문을 두번쓰거나 반복문을 사용하거나 하면 된다. 간단하게 print("강한친구 대한육군") print("강한친구 대한육군") 두번 출력해도 되고 나같은 경우는 p = "강한친구 대한육군" print(p) print(p) 이렇게 했다. 반복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for i in range(2): print("강한친구 대한육군") 이렇게 하면된다. 여기서 range(n) 안의 숫자는 (0, 2) 이런식으로도 설정할 수 있는데 0부터 2까지 올라가면서 반복하라는 소리이다. 즉 i의 값의 변화가 0 1 이되고 2가되어 종료 2번 실행되는 것이다. range(2)와 range(0, 2) 는 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2022. 9. 6.